J Geriatr Neurol > Volume 3(1); 2024 > Article
한국의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및 뇌병변장애 제도

Abstract

South Korea faces the reality of a rapidly aging society, with an increasing proportion of elderly individuals. Thi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lderly care and management, raising awareness of their quality of life and welfare. Alongside the elderly, the population with disabilities is also growing, necessitating precise diagnosis and support systems. This situation emphasizes the need fo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Korea’s elderly long-term care and brain lesion disability systems to navigate these social changes and inform policy responses effectively. Notably, elderly long-term care services target the older population, offering a range of services from health management to social activity support, while brain lesion disability systems serve all ages, focusing on assessing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to tailor welfare benefits.

서론

한국은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의 요양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노인의 생활 품질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특히, 장기간에 걸쳐 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을 위한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편, 장애 인구도 노인 인구와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지원이 필요하다[2].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및 장애진단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그에 따른 정책적 대응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분석을 제공할 것이다.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와 장애진단 제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대상 인구와 서비스 내용이다.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는 주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건강 관리부터 사회활동 지원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3,4]. 반면 장애진단 제도는 장애를 가진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장애의 종류와 심각성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복지 혜택과 지원을 결정하게 된다[5]. 또한,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는 노인이 요양이 필요한 시점에 신청하고 시작되지만, 장애진단 제도는 장애가 발견되거나 증상이 나타난 시점에 진단을 받고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종설에서는 한국에서의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와 장애 관련 제도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다만, 장애인 등록 및 심사제도는 질환의 범주에 따라 1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져 있어 그 범위가 매우 넓다[6]. 따라서 오늘은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와 대상자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많이 겹쳐지는 뇌병변장애로 제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노인 및 장애인들에게 더 나은 복지와 삶의 질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1. 서비스의 목적과 신청 대상

한국의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는 2008년 7월에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한다[7]. 이 법은 노인들의 장기간 돌봄과 요양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장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서비스의 주요 목적은 수요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립성을 유지하며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는 것이다. 노인이나 노인성 질환을 가진 장기요양 수요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일상생활에서의 자립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이러한 대상자들의 생활능력 유지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며,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법적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의 대상자는 6개월 이상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사람 중에서 65세 이상 또는 65세 미만으로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노인성 질병: 치매, 뇌혈관성질환, 파킨슨질환 등)이다[8]. 신청 자격은 장기요양보험가입자 및 그 피부양자 또는 의료급여수급권자로서,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동시에 장기요양보험 강제 가입하게 되어 건강보험증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신청은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 친족, 이해관계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치매안심센터의 장 등이 대리 신청할 수 있다.

2. 노인장기급여의 종류

노인장기요양의 급여들은 대상자의 상황, 건강 상태, 그리고 가족과의 생활 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9].

1) 시설급여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이 요양시설(예: 노인요양원, 노인전문병원 등)에 입소하여 제공받는 서비스이다. 이 급여는 24시간 전문적인 관리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적합하다. 서비스 내용은 식사 제공, 개인위생 관리, 일상생활 지원, 건강 관리 및 간호 서비스, 재활 운동 프로그램, 여가 및 사회활동 지원 등이 포함된다.

2) 재가급여

대상자가 자택에서 생활하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급여이다. 대상자의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돌봄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내용은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데이케어 센터 이용), 단기보호(리스파이트 케어), 복지용구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된다.

3) 특별현금급여

장기요양 서비스를 직접 제공받기 어려운 특수한 상황에 있는 대상자에게 현금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이다. 예를 들어, 지정된 서비스 제공자가 없거나 대상자가 일시적으로 해외에 체류하는 경우 등에 지급될 수 있다. 특별현금급여의 지급 조건과 금액은 대상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달라지며, 해당 지역의 장기요양보험 운영기관의 결정에 따른다.

3. 신청 방법 및 등급판정 절차

국민건강보험에 노인장기요양급여를 신청 후에는 등급판정위원회에서 인정등급을 받아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청은 인터넷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https://www.longtermcare.or.kr)를 통해서, ‘The건강보험’ 모바일 앱을 통해서, 혹은 직접 방문이나 우편 및 팩스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신청 장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운영센터에서 이루어진다. 신청서류는 65세 이상의 경우에는 ‘장기요양인정신청서’를 신분증을 지참하여 제출하면 되고, 65세 미만이라면 노인성 질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의사의 진단서나 소견서를 추가하여 함께 제출해야 한다.
장기요양인정신청서가 접수된 이후에는 장기요양 운영센터의 공단 직원이 신청인과 연락하여 방문 계획 약속을 잡는다. 정해진 날짜에 공단 직원이 대상자의 신체적 활동과 인지기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방문하는 인정조사를 시행하게 된다. 즉, 대상자의 평소의 생활 모습을 확인하는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장기요양인정조사표를 작성한다. 이러한 인정조사가 끝난 후에 신청서, 방문조사결과서, 그 밖에 심의에 필요한 자료를 갖고 등급을 판정하기 위한 위원회가 열린다. 등급판정위원회에서는 대상자의 요양 필요 정도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고 부여하게 되는데, 최소 인정 기준은 6개월 이상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지 어렵다고 인정되는 자이다. 즉, 갑작스러운 골절이나 급성 뇌졸중 같은 회복이 가능한 급성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수급자로 결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요양등급별로 유효기간(2-4년)을 두어서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재판정을 통해 등급을 재조정하게 되어 있다.

4. 요양등급의 종류

장기요양인정조사표 및 의사소견서 등을 바탕으로 신청인의 개별적 심신 상황을 고려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를 조정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장기요양인정조사표를 갖고 수형분석도를 통해 장기요양인정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다[10]. 이렇게 결정된 장기요양인정점수에 따라 장기요양등급의 나누게 되는데 1등급(95점 이상), 2등급(75점 이상-95점 미만), 3등급(60점 이상-75점 미만), 4등급(51점 이상-60점 미만), 5등급(45점 이상-51점 미만), 그리고 인지지원등급(치매 환자로서 45점 미만)으로 나눈다. 등급에 따라 요양급여지원이 달라지게 되고 신체활동 지원이나 가사 도움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자세한 정보와 이용 방법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보험 관련 홈페이지(https://www.nhis.or.kr/lm/lmxsrv/law/lawListManager.do?LAWGROUP=2)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서비스의 종류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는 지자체(시·도·구) 및 노인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된다. 지자체는 해당 지역 내 노인들의 요양 서비스를 지원하고 관리하며, 노인장기요양기관은 노인의 요양 및 관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시설로서, 요양병원, 요양시설, 주야간보호센터 등이 포함된다[11].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1) 방문요양

요양보호사가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 신체활동 지원, 일상생활 도움 등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2) 방문목욕

요양보호사가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 목욕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이다.

3) 방문간호

간호사나 간호조무사가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4) 주야간보호

낮 시간 동안 또는 야간에 시설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식사, 목욕, 재활 운동, 여가 활동 등을 포함한다.

5) 단기보호(숙박형)

가족의 부재나 다른 사정으로 일시적으로 가정에서 돌봄을 받기 어려운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로, 시설에 임시로 입소하여 돌봄을 받는다.

6) 복지용구 대여 및 구입 지원

휠체어, 보행기 등 일상생활을 돕는 다양한 복지용구를 대여하거나 구입할 때 비용을 지원한다.

7) 시설입소

더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를 위해 요양원이나 간호시설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받는다.

6. 서비스의 한계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는 아직 여러가지 한계를 갖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인력 및 재정 자원의 부족, 서비스 접근성 및 질에 있어 지역 간 격차, 그리고 개인화된 서비스의 부족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서비스의 질과 이용자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복잡한 이용 절차와 규제, 제도적 유연성의 부족, 그리고 장기요양 및 요양 인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문제는 이러한 한계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역 사회의 협력, 정책 개선, 그리고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뇌병변 장애진단 제도

1. 서비스의 목적과 신청 대상

뇌병변장애는 뇌의 손상이나 이상으로 인한 장애의 정도와 범위를 파악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진단은 뇌졸중, 외상 후 뇌손상, 뇌성마비, 뇌염 등으로 인한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12]. 장애인복지법 및 관련 정책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정되고 발전하면서,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장애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었다. 파킨슨질환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여, 진행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서의 특성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장애 등급을 받을 수 있다.

2. 신청 방법 및 등급판정 절차

신청자 또는 대리인이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뇌병변장애인 등록을 위한 신청서와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 필요한 서류를 발급을 받게 되는데 장애진단서, 뇌병변장애 소견서, 의무 기록, 뇌영상 자료나 치료 기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정확한 서류 목록은 신청 시 확인이 필요하다[13]. 신청서와 함께 서류가 접수되면, 국민연금공단의 각 지사에서 해당 서류를 심사하여 장애등급을 판정하게 된다.
장애판정위원회에서 등급을 결정할 때, 제일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보행 및 일상생활 동작을 평가하는 수정바델지수이며, 뇌병변장애 소견서에 있는 필수 평가항목이다. 환자의 의무 기록과 치료 경과, 그리고 뇌영상 등을 참조하여 수정바델지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뇌성마비, 뇌졸중, 뇌손상과 같은 한 번 뇌손상에 대한 후유증에 대하여 장애를 인정하는 경우는 6개월 이상의 치료 후에 판단을 하고 경우에 따라 2년 후에 재판정을 하게 된다. 하지만 신경퇴행성 질환인 파킨슨질환 같은 경우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도 일상생활의 장애가 있는 경우에 판정을 하며, 한 번의 판정 후에 상당한 시간이 지나면서 상태가 악화될 경우에 다시 등급의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정확한 등급판정을 위해 정해진 기준과 평가 방법을 토대로 전문 의료진의 진단과 평가에 따라 결정되며, 개인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지원이 제공된다.

3. 뇌병변장애 등급

예전에는 뇌병변 1-6급까지 자세하게 나누어졌으나, 2019년 7월부터는 6등급제가 폐지가 되었다[14]. 현재는 크게 심한 장애와 심하지 않은 장애로 두 가지로만 구분된다[15]. 이 구분은 장애의 정도와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능력을 기준으로 한다. 한국의 장애인복지법에서는 뇌병변장애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장애 등급을 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게 된다.

1) 심한 장애

심한 뇌병변장애를 가진 개인은 일상생활에서 상당한 제한을 겪게 된다. 이는 뇌의 중요한 부분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인지 기능, 의사소통 능력, 운동 능력, 감정 조절 및 자기 관리 능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중증의 뇌병변장애를 가진 사람은 자가 관리가 어렵고, 전문적인 간병이나 지속적인 의료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의사소통 장애나 완전한 의존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도 큰 부담을 준다.

2) 심하지 않은 장애

심하지 않은 뇌병변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비교적 자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 경미한 경우, 인지 능력, 운동 기능, 감정 조절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어서 일상생활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자기 관리가 가능하고, 일부 지원이나 가벼운 치료를 통해 생활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이나 치료를 통해 더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이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4. 서비스의 종류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단체(지자체), 그리고 각 지자체 산하의 장애인 복지관이나 서비스 센터를 통해 뇌병변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 등의 공식 웹사이트나 지역사회 내 장애인 서비스 제공 기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16]. 이러한 서비스는 장애의 정도, 개인의 필요, 그리고 가족의 지원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대표적인 주요 서비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재활 서비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 다양한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뇌병변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신체적, 인지적 기능을 개선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2) 교통 서비스

장애인주차증과 장애인콜택시는 이동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두 가지 중요한 서비스로 장애인의 일상적인 이동을 지원하여 독립성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참여를 용이하게 한다.

3) 상담 및 심리지원 서비스

개인 또는 가족 상담을 통해 뇌병변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그 가족이 겪는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직업 재활 서비스

직업 훈련, 직장 내 적응 훈련, 취업 알선 등을 통해 뇌병변장애를 가진 성인이 사회에 통합되고 경제적 자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지원 센터 등을 통해 다양한 문화 활동, 여가 활동,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뇌병변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6) 의료지원 서비스

장애인 건강진단, 재활 의료 지원,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등 의료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7) 법적·경제적 지원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각종 장애인 복지 혜택, 재정 지원, 세금 감면 혜택 등을 제공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킨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가정에는 심한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장애수당이나 장애인연금을 제공하기도 한다.

8) 특수교육 서비스

주로 뇌병변장애가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개별적인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5. 서비스의 한계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는 아직까지 재정적 제약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물리적 및 정보 접근성 문제로 이동의 자유와 서비스 이용을 크게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서비스의 일관성과 품질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 일부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서비스가 부족하다. 게다가 우리 사회에 아직 남아 있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기술적 장벽도 중요한 도전 과제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비영리 단체, 민간 부문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6. 장애인연금/장애수당과 장애연금의 차이점과 구별

장애인연금/장애수당과 장애연금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두 가지 다른 혜택이다. 장애인연금은 나이에 관계없이 주로 심한 장애를 가지면서 소득수준이 낮은 사람에게 제공되며, 그들의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급된다[17,18]. 장애수당 역시 나이에 관계없이 심하지 않은 장애를 가지면서 소득수준이 낮은 사람에게 지급된다. 반면에 장애연금은 노령연금의 지급 연령이 아닌 나이에서 국민연금 가입자가 장애로 인하여 근로 능력의 상실이나 감소로 인해 소득 활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지급된다[19]. 이러한 장애연금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지급되는데, 과거의 근로 활동, 보험료 납부 기간 등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근로 능력 상실 정도에 따라 지원된다. 따라서 장애인연금과 장애연금은 지원의 대상, 지급 기준, 목적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장애인연금/장애수당 및 장애연금은 모두 각 지역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문의하여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신청하면 된다.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및 뇌병변장애의 서비스의 품질향상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접근성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또한,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을 통해 장기요양 및 뇌병변장애 서비스에 대한 지속 가능한 재정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장애인과 노인 인구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는 포괄적인 정책 개발과 실행으로 사회적 포용성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has no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isclose.

Funding

None.

References

1. Yoon H. Policy issues of long-term care for older people in the Republic of Korea. In: Komazawa O, Saito Y, editors. Coping with Rapid Population Ageing in Asi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2021. p. 21-27.
2. Jeon B, Kwon S. Health and long-term care systems for older people in the Republic of Korea: policy challenges and lessons. Health Syst Reform 2017;3:214-223.
crossref pmid pdf
3. Song EH, Moon YS, Park JH, Joo BE, Han HS, Lee CN, et al. Current status of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and future perspective: a questionnaire survey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of South Korea. J Korean Neurol Assoc 2024;42:1-12.
crossref pdf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Long-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21 [Internet]. NHIS; 2022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c07200m01.do?-ode=view&articleNo=10820535.
5. Jang H, Choi KH, Kim JA, Choi YJ.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of Korean registered disabled by disability type in 2014-2018: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database. BMC Public Health 2023;23:1750.
crossref pmid pmc pdf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Disability registration/review system of the degree of disability [Internet]. MOHW; 2024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10010900.
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3 [cited 2023 Sep 15].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W//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B%85%B8%EC%9D%B8%EC%9E%A5%EA%B8%B0%EC%9A%94%EC%96%91%EB%B3%B4%ED%97%98%EB%B2%95#undefined.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1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InfoP.do?lsId=010436&ancYnChk=0#0000.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The easy leg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4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673&ccfNo=2&cciNo=2&cnpClsNo=2.
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Method of calculation of long-term care recognition score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51866.
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Long-term care insurance [Internet]. NHIS;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longtermcare.or.kr.
1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Disability rating criteria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18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admRulInfoP.do?admRulSeq=2100000141371.
13. National Pension Service. Documents required for the registration of persons with brain lesions [Internet]. National Pension Service; 2019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nps.or.kr/html/images/disabledPerson/down/02_disabled.pdf.
14.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romo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self-governing laws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disability rating system [Internet].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70372.
1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disability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2022 [cited 2024 April 30].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12804.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net]. MOHW;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10040000.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Disability pension overview [Internet]. MOHW; 2024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10030100.
1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 disabled pension [Internet].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4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gov.kr/portal/rcvfvrSvc/dtlEx/SD0000016119.
19. National Pension Service. Disability pension [Internet]. National Pension Service; [cited 2024 Apr 30]. Available from: https://m.nps.or.kr/jsppage/mobile/in/HG_4A0003_01.jsp?hrnkMenuId=MW_IN_03&menuId=MW_IN_030_J.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 1,603 View
  • 25 Download
ORCID iDs

Kyum-Yil Kwon
https://orcid.org/0000-0001-5443-0952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111, Daeil Bldg, 12,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63, Korea
Tel: +82-2-720-3982    E-mail: editor@e-jgn.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Geriatric Neur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